diff --git a/src/localization/index.js b/src/localization/index.js index 4c4febfb..a65e16d8 100644 --- a/src/localization/index.js +++ b/src/localization/index.js @@ -1,17 +1,20 @@ import en from './en'; import tr from './tr'; import ru from './ru'; +import ko from './ko'; const messages = { en, tr, ru, + ko, }; export const langNames = { en: 'EN', tr: 'TR', ru: 'RU', + ko: 'KO', }; export const defaultLocale = 'en'; diff --git a/src/localization/ko/cheatsheet.json b/src/localization/ko/cheatsheet.json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7c7de12a --- /dev/null +++ b/src/localization/ko/cheatsheet.json @@ -0,0 +1,67 @@ +{ + "cheatsheet.anchors": "Anchors", + "cheatsheet.caret.title": "Start of string or line", + "cheatsheet.caret.description": "Matches the beginning of the string or line.", + "cheatsheet.dollar.title": "End of string or line", + "cheatsheet.dollar.description": "Matches the end of the string or line.", + "cheatsheet.wordBoundary.title": "Word Boundary", + "cheatsheet.wordBoundary.description": "Matches the word character or position at the end of a word.", + "cheatsheet.notWordBoundary.title": "Not Word Boundary", + "cheatsheet.notWordBoundary.description": "Matches a word character or position that is not at the end of a word.", + + "cheatsheet.characterClasses": "Character Classes", + "cheatsheet.characterSet.title": "Character Set", + "cheatsheet.characterSet.description": "Matches any character in the set.", + "cheatsheet.negatedCharacterSet.title": "Negated Character Set", + "cheatsheet.negatedCharacterSet.description": "Matches any character not in the set.", + "cheatsheet.range.title": "Range", + "cheatsheet.range.description": "Matches all characters between two characters, including themselves.", + "cheatsheet.dot.title": "Dot", + "cheatsheet.dot.description": "Matches any character except line breaks.", + "cheatsheet.word.title": "Word", + "cheatsheet.word.description": "Matches any alphanumeric character. Including the underline.", + "cheatsheet.notWord.title": "Not Word", + "cheatsheet.notWord.description": "Matches any non-alphanumeric character.", + "cheatsheet.digit.title": "Digit", + "cheatsheet.digit.description": "Matches any numeric character.", + "cheatsheet.notDigit.title": "Not Digit", + "cheatsheet.notDigit.description": "Matches any non-numeric character.", + "cheatsheet.space.title": "Whitespace", + "cheatsheet.space.description": "Matches any whitespace character.", + "cheatsheet.notSpace.title": "Not Whitespace", + "cheatsheet.notSpace.description": "Matches any non-whitespace character.", + + "cheatsheet.flags": "Flags", + "cheatsheet.caseInsensitiveFlag.title": "Ignore Case", + "cheatsheet.caseInsensitiveFlag.description": "Makes the expression case insensitive.", + "cheatsheet.globalFlag.title": "Global", + "cheatsheet.globalFlag.description": "Ensures that the expression does not stop on the first match.", + "cheatsheet.multilineFlag.title": "Multiline", + "cheatsheet.multilineFlag.description": "If not enabled, line start and end equals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entire string. It doesn't work for each row individually.", + + "cheatsheet.groupAndReferences": "Group & References", + "cheatsheet.group.title": "Group", + "cheatsheet.group.description": "Groups an expression.", + "cheatsheet.reference.title": "Reference", + "cheatsheet.reference.description": "References a grouped expression.", + "cheatsheet.nonCapturingGroup.title": "Non Capturing Group", + "cheatsheet.nonCapturingGroup.description": "Makes a grouping that cannot be referenced.", + + "cheatsheet.lookarounds": "Lookarounds", + "cheatsheet.positiveLookahead.title": "Positive Lookahead", + "cheatsheet.negativeLookahead.title": "Negative Lookahead", + "cheatsheet.positiveLookbehind.title": "Positive Lookbehind", + "cheatsheet.negativeLookbehind.title": "Negative Lookbehind", + + "cheatsheet.quantifiersAndAlternation": "Quantifiers And Alternation", + "cheatsheet.plus.title": "Plus", + "cheatsheet.plus.description": "Expression matches one or more.", + "cheatsheet.asterisk.title": "Astekrisk", + "cheatsheet.asterisk.description": "Expression matches zero or more.", + "cheatsheet.quantifier.title": "Quantifier", + "cheatsheet.quantifier.description": "Expression matches within specified ranges.", + "cheatsheet.optional.title": "Optional", + "cheatsheet.optional.description": "Makes the expression optional.", + "cheatsheet.alternation.title": "Alternation", + "cheatsheet.alternation.description": "Or it works like. It waits for one of the expressions it reserved to match." +} \ No newline at end of file diff --git a/src/localization/ko/general.json b/src/localization/ko/general.json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b007c91a --- /dev/null +++ b/src/localization/ko/general.json @@ -0,0 +1,32 @@ +{ + "general.prev": "이전", + "general.next": "다음", + "general.result": "결과", + "general.regex": "Regex", + "general.text": "문자", + "general.completedStep": "단계 성공!", + "general.hintQuestion": "답안 보기", + "general.reportStep": "오류 제기", + "general.startLearning": "학습 시작", + "general.comingSoon": "곧", + "general.becomeSponsor": "후원자가 되어주세요", + "general.learn": "학습", + "general.playground": "Playground", + "general.cheatsheet": "Cheatsheet", + "general.ourSponsors": "후원자들", + + "notFound.intro": "찾고자 하는 페이지가 없습니다.", + "notFound.button": "홈으로 돌아가기", + + "page.landing.title": "Regex 배우기 - 처음부터 차근차근.", + "page.learn.title": "Regex 배우기 - RegEx 중간 과정", + "page.cheatsheet.title": "Regex 배우기 - RegEx Cheatsheet", + "page.404.title": "Regex 배우기 - 찾을 수 없음", + + "page.landing.description": "RegEx를 상호작용하며 배우고 당신의 level에 맞추어 실험, 연습하고 당신만의 RegEX를 공유하세요.", + "page.learn.description": "RegEX를 차근차근 배우세요. 튜토리얼을 마치면 좀 더 이해하기 쉽고 용이할 것입니다.", + "page.cheatsheet.description": "가끔 RegEx를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cheatsheet를 시도해보세요. 당신을 이해하기 쉽고 오래 기억하게 해줄 것입니다.", + + "alert.site.under.development": "이 사이트는 아직 개발중입니다. 변화하는 것을 함께 지켜봐주세요.", + "learn.safari.unsupportWarning": "Regular expressionsare 단계는 Safari 브라우저 지원을 받지 않습니다. 이 단계 이전에 문제가 있다면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 diff --git a/src/localization/ko/index.js b/src/localization/ko/index.js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b44cd1c2 --- /dev/null +++ b/src/localization/ko/index.js @@ -0,0 +1,13 @@ +import general from "./general.json"; +import landing from "./landing.json"; +import cheatsheet from "./cheatsheet.json"; +import learn from "./learn.json"; + +const messages = { + ...general, + ...landing, + ...cheatsheet, + ...learn +} + +export default messages; \ No newline at end of file diff --git a/src/localization/ko/landing.json b/src/localization/ko/landing.json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9a7a48e8 --- /dev/null +++ b/src/localization/ko/landing.json @@ -0,0 +1,20 @@ +{ + "landing.title": "RegEx를 처음부터 차근차근 배우세요.", + "landing.description": "RegEx 을 배우는 것은 생각보다 쉽습니다. 당신은 RegEx 를 쉽게 `배우고`, `연습하고`, `실험해보고` 그리고 `나눌 수` 있습니다.", + + "section.learn.title": "학습하기", + "section.learn.content": "`Regular Expressions`, 축약해서 RegEx 혹은 RegExp 로 불리며, RegEx 구문 규칙 프레임워크안에서 생성된 문자열입니다. RegEx와 함께 검색,매칭,편집 명령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쉽게 관리하고 처리할수 있습니다. Regex는 Python, SQL, Javascript, R, Google Analytics, Google Data Studio와 같은 모든 코딩 프로세스 프로그래밍 언어안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지금 당장 RegexLearn에서 예제와 튜토리얼을 통해 regex를 배우세요.", + + "section.cheatsheet.button": "지금 리뷰하기", + "section.cheatsheet.title": "Cheatsheet", + "section.cheatsheet.content": "하나의 페이지안에서 `RegexLearn Cheatsheet`로 모든 사용법을 알 수 있습니다. RegEx cheat sheet과 함께 모든 RegEx 패턴과 기호를 찾아보세요.", + + "section.playground.title": "Playground", + "section.playground.content": "RegEx를 만들고 싶다면, Playground를 통해 당신의 RegEx 패턴을 쉽게 만들고 실험해 볼 수 있습니다. RegEx tester로서, 곧 다른사람들과 당신의 RegEx를 공유하며 협업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 "section.practice.title": "실습", + "section.practice.content": "If you complete the learning part, it's time to PRACTICE! In the practice section, you can test your RegEx knowledge and practice with RegEx tutorials based on your level. Soon.", + + "section.opensource.title": "오픈 소스", + "section.opensource.content": "Regex 배우기는 자유롭게 이용 가능하고 모든 커뮤니티의 contributions을 환영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능력을 연마하고 공부하고 협업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contribute & support 할 수 있습니다." +} diff --git a/src/localization/ko/learn.json b/src/localization/ko/learn.json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49bea6e0 --- /dev/null +++ b/src/localization/ko/learn.json @@ -0,0 +1,164 @@ +{ + "examples.starter.title": "실습", + "examples.starter.description": "이제 배운 내용을 시도하는 연습을 해볼 차례입니다", + + "examples.finish.title": "실습 완료!", + "examples.finish.description": " ", + + "steps.starter.title": "개요", + "steps.starter.description": "RegEx는 `Regular Expression`의 줄임말입니다. 이것은 내용을 찾거나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RegEx 필드에 'OK'를 입력하여 첫 번째 단계를 진행하고 자세한 설명에 접근합니다...", + + "steps.whatIsRegex.title": "Regular Expressions, `RegEx`는 무슨 뜻일까?", + "steps.whatIsRegex.description": "Regular Expressions 검색패턴을 표현하는 문자열입니다. 자주 `RegEx` 혹은 `RegExp`로 불립니다. 이것은 내용의 단어를 찾거나 대체하는데 용이합니다. 추가적으로, 내용이 우리가 설정한 규칙에 부합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n\\n 예를 들어, 파일이름들이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이때 'pdf'형식의 파일만 찾고싶을때, 이 `^\\w+\\.pdf$` 표현을 입력하면 찾을 수 있을 것 입니다. 진행 단계가 거듭될수록 표현의 정의의 의미는 더 정확해질 것입니다.", + + "steps.basicMatchers.title": "기본 매칭", + "steps.basicMatchers.description": "우리가 찾고자 하는 단어 내용을 직접 작성합니다. 이는 기본 검색 과정과 동일합니다. 예를 들어, 문단에 'curious'이라는 단어를 찾기 위해서 똑같이 작성하면 됩니다.", + + "steps.dotCharacter.title": "점 `.`: 아무 문자", + "steps.dotCharacter.description": "이 `.`기호는 특수문자나 여백을 포함한 아무 문자를 구분합니다.", + + "steps.characterSet.title": "문자열 `[abc]`", + "steps.characterSet.description": "한단어가 여러 문자열인 경우, 우리는 이를 모두 대괄호`[]`안에 작성합니다. 예를 들어, 문단 안에 있는 모든 단어를 작성하기 위해서, 대괄호 `[]` 안에 `a`, `e`, `i`, `o`, `u` 문자들을 작성합니다..", + + "steps.negatedCharacterSet.title": "부정 문자 집합`[^abc]`", + "steps.negatedCharacterSet.description": "아래 문단에서 'ber'와 'bo'를 제외한 모든 단어를 찾으려면 대괄호 '[]' 안에 캐럿 '^' 문자 뒤에 'e'와 'o'를 나란히 입력하세요.", + + "steps.range.title": "문자 범위`[a-z]`", + "steps.range.description": "지정된 범위의 글자를 찾으려면 시작 글자와 끝 글자를 대괄호 '[]' 사이에 대시 '-'로 작성하세요. 이는 대소문자를 구분합니다. 'e'와 'o' 사이의 모든 소문자를 선택하는 식을 입력합니다.", + + "steps.rangeNumber.title": "숫자 범위`[0-9]`", + "steps.rangeNumber.description": "특정 범위내의 숫자를 찾기 위해서, 시작하는 숫자와 끝 숫자가 두 숫자 사이에`-`와 함께 `[]`안에 입력됩니다. 3,6을 포함한 그 사이의 숫자를 찾는 표현을 작성해보세요." + + "examples.basicMatchers.title": "실습: 기본 매칭", + "examples.basicMatchers.description": "문단안에 `of`와 함께 쓰이는 단어들을 선택할 표현을 작성하세요.", + + "examples.dotCharacter.title": "실습: 아무 문자", + "examples.dotCharacter.description": "문단에서 개별 문자, 숫자, 공백 및 특수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표현식을 입력합니다. 당신이 작성한 표현법은 어떤 문자든지 매칭되어야 합니다.", + + "examples.characterSet.title": "실습: ", + "examples.characterSet.description": "문단에 각 단어와 일치하는 문구를 쓰세요. 변경되는 문자는 오직 단어의 이니셜뿐입니다.", + + "examples.negatedCharacterSet.title": "실습: 부정 문자 집합", + "examples.negatedCharacterSet.description": "beor와 beur 이외의 다른 표현과 일치하는 표현을 본문에 적어주세요. 부정 문자 집합을 이용하여 표현해주세요.", + + "examples.range.title": "실습: 문자 범위", + "examples.range.description": "글에서 'g'에서 'k'까지 선택할 수 있는 표현을 쓰세요.\\n`g` 및 'k' 문자도 이 범위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 + "examples.rangeNumber.title": "실습: 숫자 범위", + "examples.rangeNumber.description": "문단에서 '2'부터 '7'까지의 숫자를 선택하는 식을 입력합니다.\\n`2` 와 `7`또한 범위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 + "steps.repetitions.title": "반복", + "steps.repetitions.description": "일부 특수 문자는 텍스트에서 문자가 반복되는 횟수를 지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특수 문자들은 `+`, `*`, `?` 입니다.", + + "steps.asterisk.title": "별모양기호 `*`", + "steps.asterisk.description": "문자가 전혀 일치하지 않거나 여러 번 일치했음을 나타내기 위해 끝에 별기호 '*'를 붙입니다. 예를 들어, 문자 'e'가 본문에서 나타나면 안됨을 의미하거나, 한 번 이상 나란히 나타남을 의미합니다.", + + "steps.plusCharacter.title": "덧셈기호 `+`", + "steps.plusCharacter.description": "문자가 한 번 이상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끝에 더하기 기호 '+'를 붙입니다. 예를 들어, 문자 'e'가 본문에서 한 번 이상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 + "steps.questionMark.title": "물음표기호 `?`", + "steps.questionMark.description": "문자가 선택 사항임을 나타내기 위해 끝에 물음표를 붙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 문자 'u'가 선택 사항임을 나타냅니다.", + + "steps.quantifier.title": "중괄호 - 1", + "steps.quantifier.description": "우리는 문자의 발생 횟수를 표현하기 위해 마지막에 몇 번이 일어나길 원하는지 중괄호 '{n}'로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다음 문자 'e'는 '2'번만 나타남을 의미합니다.", + + "steps.quantifierMin.title": "중괄호 - 2", + "steps.quantifierMin.description": "최소한 문자의 발생 횟수를 표현하기 위해, 우리는 끝에는 쉼표 ''와, 안쪽에는 중괄호 '{n, }'를 붙여서 문자가 최소한 몇번 나타나는지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 문자 'e'는 '3'번이상 나타남을 의미합니다", + + "steps.quantifierRange.title": "중괄호 - 3", + "steps.quantifierRange.description": "특정 숫자 범위에서 문자의 발생을 표현하기 위해 범위내에 중괄호 '{x,y}'를 씁니다. 예를 들어, `e`는 `1` 과 `3`사이에서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 "examples.asterisk.title": "실습: 별기호 `*`", + "examples.asterisk.description": "별기호 '*'를 사용하여 문단에 문자 'e'가 없거나 두 개 이상의 단어가 있는 경우에 적합한 각 단어를 선택하는 식을 작성합니다.", + + "examples.plusCharacter.title": "실습: 덧셈기호 `+`", + "examples.plusCharacter.description": "더하기 기호 '+'를 사용하여 문단에서 문자 'e'가 한 번 이상 나타나는 단어를 선택합니다.", + + "examples.questionMark.title": "실습: 물음표기호 `?`", + "examples.questionMark.description": "문자 'n'이 선택 사항임을 나타내는 식을 물음표 '?'를 통해 사용하세요. 그러면 a와 an을 모두 선택할 수 있습니다.", + + "examples.quantifier.title": "실습: 중괄호 - 1", + "examples.quantifier.description": "중괄호{}를 사용하여 문단에서 '0'부터 '9'까지의 4'자리 숫자를 선택하기 위해 식을 쓰세요.", + + "examples.quantifierMin.title": "실습: 중괄호 - 2", + "examples.quantifierMin.description": "중괄호 '{}'을(를) 사용하여 문단에서 '2'회 이상 발생하는 숫자 '0'과 '9' 사이의 숫자를 선택하세요.", + + "examples.quantifierRange.title": "실습: 즁괄호 - 3", + "examples.quantifierRange.description": "중괄호 '{}'를 사용하여 최소한 1에서 4 사이의 문단에서 '0'에서 '9' 사이의 숫자를 선택하세요.", + + "steps.groupping.title": "소괄호 `( )`: 그룹화", + "steps.groupping.description": "우리는 어떤 규칙을 참조하거나 적용시키기위헤 표현을 그룹화 할 수 있습니다. 표현을 그룹화하기 위해 `()` 소괄호를 사용합니다. 아래와 같이`haa` 를 그룹화 할 수 있습니다.", + + "steps.groupReference.title": "그룹 참조", + "steps.groupReference.description": "단어 `ha` 와 `haa`는 그룹화 되었습니다. 첫번째 그룹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1`로 쓰입니다. 여기서 `1`는 그룹의 순서를 의미합니다. 표현 끝의 형식 `\\2`는 두번째 그룹을 의미합니다.", + + "steps.nonCapturingGroupping.title": "소괄호 `(?: )`: 확인되지 않는 그룹화", + "steps.nonCapturingGroupping.description": "표현식을 그룹화하여 참조에 의해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 그룹들을 보세요. 그러나 우리가 '\\1'로 나타내는 첫 번째 그룹 참조는 사실 두 번째 그룹을 가리키는데, 첫 번째 그룹은 학습되지 않은 그룹이기 때문입니." + + "steps.pipeCharacter.title": "파이프 문자 `|`", + "steps.pipeCharacter.description": "표현이 다른 표현 안에 있을 수 있도록 지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가능한 모든 진술은 파이프 기호 `|`로 구분되어 작성됩니다. 이것은 문자 집합 '[abc]'와 다르며 문자 집합은 문자 수준에서 작동합니다. 대안은 표현 수준에 있습니다. 예를 들어,다음 표현은 'cat'과 'cat'을 모두 선택합니다. 표현식의 끝에 파이프 기호 '|'를 하나 더 추가하고 'rat'를 입력하여 모든 단어가 선택되도록 합니다." + + "steps.escapeCharacter.title": "탈출 문자 `\\`", + "steps.escapeCharacter.description": "There are special characters that we use when writing regex. `{ } [ ] / \\ + * . $^ | ?` Before we can select these characters themselves, we need to use an escape character `\\`. For example, to select the dot `.` and asterisk `*` characters in the text, let's add an escape character `\\` before it.", + + "steps.caret.title": "캐럿 문자 `^`:\\n라인 시작 선택", + "steps.caret.description": "우리는 숫자를 찾기 위해 [0-9]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의 시작 부분에 있는 숫자만 찾으려면 이 식에 '^' 기호를 붙입니다", + + "steps.dollar.title": "달러 문자 `$`:\\n라인 끝 선택", + "steps.dollar.description": "html 값 뒤에 '$' 기호를 사용하여 줄 끝에만 있는 html 문단를 찾아봅시다.", + + "steps.wordCharacter.title": "단어 문자`\\w`: 문자, 숫자 및 밑줄", + "steps.wordCharacter.description": "표현 `\\w` 는 문자, 숫자 및 밑줄을 찾기 위해 사용됩니다. 문단에 단어들을 찾기위해 `\\w`표현을 사용해 봅시다.", + + "steps.withoutWordCharacter.title": "단어 문자 제외 `\\W`", + "steps.withoutWordCharacter.description": "표현 `\\W`는 문자, 숫자 및 밑줄를 제외하고 찾기 위해 사용됩니다.", + + "steps.numberCharacter.title": "숫자 문자 `\\d`", + "steps.numberCharacter.description": "`\\d`는 숫자를 찾기 위해 사용됩니다.", + + "steps.withoutNumberCharacter.title": "숫자 문자 제외 \\D`", + "steps.withoutNumberCharacter.description": "`\\D`는 숫자가 아닌 문자를 찾기 위해 사용됩니다.", + + "steps.spaceCharacter.title": "공백문자 `\\s`", + "steps.spaceCharacter.description": "`\\s`는 공백문자만을 찾기 위해 사용됩니다.", + + "steps.withoutSpaceCharacter.title": "공백문자 제외 `\\S`", + "steps.withoutSpaceCharacter.description": "`\\S` 는 공백 문자를 제외하고 찾기 위해 사용됩니다.", + + "steps.lookarounds.title": "Lookarounds", + "steps.lookarounds.description": "우리가 쓰고 있는 구절이 다른 구절 앞이나 뒤에 오기를 원한다면, 우리는 \"lookaround\"가 필요합니다. \"lookaround\"를 사용하기 위한 다음단계로 진행하세요.", + + "steps.positiveLookahead.title": "Positive Lookahead: `(?=)`", + "steps.positiveLookahead.description": "예를 들어, 문단에서 시간 값을 선택하려고 합니다. 그러면 그 뒤에 'PM'이 있는 숫자 값만 선택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표현 뒤에 긍정적인 예측 표현 '(?=)'를 써야 합니다. 괄호 안의 '=' 기호 뒤에 'PM'을 넣으세요", + + "steps.negativeLookahead.title": "Negative Lookahead: `(?!)`", + "steps.negativeLookahead.description": "예를 들어, 문단에서 시간 값 이외의 숫자를 선택하려고 합니다. 그러면 음의 예측식 '(?)'을 표현 뒤에 써서 뒤에 'PM'이 없는 숫자 값만 선택해야 합니다. 괄호 안쪽에 '!' 기호 뒤에 'PM'을 넣으십시오.", + + "steps.positiveLookbehind.title": "Positive Lookbehind: `(?<=)`", + "steps.positiveLookbehind.description": "예를 들어, 우리는 문단에서 가격 값을 선택하기를 원합니다. 따라서 '$' 앞에 오는 숫자 값만 선택하기 위해서는 양의 뒷모습 표현 '(?)을 써야 한다.우리 표현 앞에 <=)>. 괄호 안의 '=' 기호 뒤에 '\$'를 추가합니다.", + + "steps.negativeLookbehind.title": "Negative Lookbehind: `(?<!)`", + "steps.negativeLookbehind.description": "예를 들어, 우리는 문단에서 가격 값 이외의 숫자를 선택하기를 원합니다.Therefore, '$' 앞에 없는 숫자 값만 선택하려면 표현 앞에 `(?<!)` 뒤에 음의 모양을 써야 합니다. 괄호 안의 '!' 뒤에 '\$'를 추가합니다.", + + "steps.flags.title": "Flags", + "steps.flags.description": "Flags는 표현의 결과는 바꿉니다. 이는 `modifiers`로도 불리는 이유입니다. 입력된 식이 문단을 별도의 줄로 처리할지, 대소문자를 구분할지, 모든 일치 항목을 찾을지를 결정하세요. flags을 배우기 위한 다음 단계로 진행하세요.", + + "steps.flagsGlobal.title": "global flag" + "steps.flagsGlobal.description": "`global` flag causes the expression to select all matches. If not used it will only select the first match. Now enable the `global` flag to be able to select all matches.", + + "steps.flagsMultiline.title": "다중문자열 Flag", + "steps.flagsMultiline.description": "RegEx는 모든것을 한 문장으로 봅니다. 하지만 우리는 각 문장을 보기위해 multiline` flag를 사용합니다. 이런 식으로 표현들은 각 줄마다 따로 적용됩니다. 이제 `multiline` flag 모든 매칭을 찾기위해 사용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 + "steps.flagsCaseInsensitive.title": "대소문자 비구분 Flag", + "steps.flagsCaseInsensitive.description": "우리가 쓴 표현의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으려면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 flag를 활성화해야 합니다.", + + "steps.greedyMatching.title": "greedy 매칭", + "steps.greedyMatching.description": "RegEx 는 기본적으로 greedy 매칭이 아닙니다. 이는 매칭을 가능한만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래 예시를 보면, 이것은 `r`로 끝나는 모든 문자와 매칭하므로 그 앞에 있는 모든 단어들이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이는 첫 글자 'r'로 끝나지 않습니다.", + + "steps.lazyMatching.title": "Lazy 매칭", + "steps.lazyMatching.description": "Lazy 매칭은 greedy과 다르게 처음 매칭에서 종료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 예시에서 문자 'r'로 끝나고 문자 뒤에 오는 첫 번째 일치를 찾으려면 '*' 뒤에 '?'를 추가하여야 합니다. 이는 매치가 `r`앞에서 멈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 "steps.completeAllSteps.title": "축하합니다. 모든 단계를 완료하셨습니다.", + "steps.completeAllSteps.description": "원할 때마다 이전 단계로 돌아갈 수 있으며, 통과한 모든 단계를 쉽게 탐색할 수 있습니다." +} +